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Previous issues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Previous issues
12 Previous issues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Volume 14(4); December 2006
Prev issue Next issue
Review Articles
The Understanding of Meditation
Seok Park
Korean J Str Res. 2006;14(4):247-258.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75 View
  • 2 Download
Abstract PDF
This article discusses the questions about meditation. Meditation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heritage of religious practice in India, but most religions in the world have meditative practices. In the past meditation was handed down over to monks and nuns, but recently meditation became widely open to the public. Meditation gives a lot of benefits, and the first is "the relaxation response", the second is to enhance the power of concentration, and the third is the enhancement of awareness. Because of these benefits a lot of psychologists and physicians show their interest in meditation. Also Ecologists regard meditative life style as a good alternative for modern civilization. Meditation also can play a role to soothe the confliction between religions, for meditation does not put stress on dogmas. But meditation also has several side effects. Occasionally improper practices of meditation without right guidance may cause physical and mental side effect. Since meditation is basically designed to cultivate the inner mental world, those who deeply interested in meditation have the possibility to lose the sense of real life and escape from daily life. Since meditation puts much emphasis on subjectivity, meditation has the inclination to mislead the practitioner obsessed with the wrong subjectivity. Sometimes collective meditation leads to collective hypnosis. To avoid these kinds of side effects, we must have the rational and scientific attitude and should not forget the importance of daily life. (Korean J Str Res 2006;14:247∼257)
Meditations in Buddhism: Focused on Concentration Meditation and Insight Meditation
Jaesung Kim
Korean J Str Res. 2006;14(4):259-270.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85 View
  • 5 Download
Abstract PDF
2500년 동안 실천되어 오면서 인간의 괴로움을 해결하는 데 효과가 입증되어 온 불교 명상은 20∼30년 전부터 서양 의학/심리학/심리치료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불교 명상은 집중명상과 통찰명상(마음챙김 명상)으로 구분되며, 통찰명상의 마음챙김이라는 방법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들(현재의 경험에, 수용의 태도로, 알아차림)이 심리치료적 공통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통찰명상과는 달리 다양한 집중명상의 방법들은 특정한 부정적 심리상태를 일시적으로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고는 신체보다는 심리현상을 다루는 기법으로서 두 가지 불교명상을 불교의 맥락에서 고찰하였다. 불교라는 맥락에서 이해된 많은 불교 명상법들은 현대인의 심리적/관계적/실존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J Str Res 2006;14:259∼270)
Meditation in Yoga
Ok-Kyeong Cho
Korean J Str Res. 2006;14(4):271-280.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73 View
  • 1 Download
Abstract PDF
21세기 들어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실현, 영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체중심의 스포츠나 체조로서 인식되어 왔던 종래의 요가의 모습에서 탈피하여 집중을 통한 명상기법으로서의 요가의 본래적 측면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요가라는 말은 개체적인 나에서 벗어나서 보다 큰 진아(眞我)에로 합일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요가에서는 집중명상을 매우 강조하고 있는데 그동안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자세 위주의 요가는 집중을 위한 가장 초보적인 훈련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명상중심의 요가를 라자(Raja)요가라고 하며 라자요가에서는 8가지 요소를 통해 삼매에 이르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여덟개 요소 중 마지막 세 가지인 집중, 명상, 삼매를 내면적 요가라고 하고 이것이 요가명상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집중의 대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강의에서는 초보자에게 적합한 소리, 호흡, 만트라를 소개하였다. 어느 한 대상에 마음을 모으는 에카그라타(Ekagrata)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비훈련들이 필요한데 요가의 여러 테크닉들은 실제로 이를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명상을 위한 예비단계들, 명상을 돕는 간단한 자세, 호흡, 이완을 소개하였으며, 집중을 방해하는 산란한 생각을 다루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고도의 집중은 어느 한 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과 훈련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명상을 돕는 여러 가지 생활습관들을 익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명상을 돕는 생활습관들과 함께 생활 속의 요가의 예를 제시하였다. (Korean J Str Res 2006;14:271∼279)
Suggestions for the Teaching of Mindfulness Meditation
Jung-Ho Kim
Korean J Str Res. 2006;14(4):281-286.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86 View
  • 1 Download
Abstract PDF
Recently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mindfulness or mindfulness meditation. Besides, the application of mindfulness meditation to various clinical and everyday settings has increased markedly. The present study first clarified the concept of mindfulness and corrected some misunderstandings of mindfulness. Then, various ways to teach mindfulness were dealt with.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systematic mindfulness' (Kim, 2001) was emphasized. Lastly the present paper emphasized that we need to complement mindfulness meditation with other methods for better cultivation of mind. (Korean J Str Res 2006; 14:281∼286)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Jeong-Ho Chae
Korean J Str Res. 2006;14(4):287-292.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87 View
  • 3 Download
Abstract PDF
Anxiety disorders are very highly prevalent psychiatric disorders and 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have a poorer overall quality of life, and experience significant impairment in academic functioning, work performa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ince anxiety disorders are main source of major morbidity in the fields of psychiatry, proper and accurate diagnosis is crucial for an appropriate management. Generally, the management of anxiety disorders include the psychoeducation about the nature of anxiety disorders and helping the patients to develop coping strategie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is combined psychotherapeutic and pharmacotherapeutic intervention. The major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to anxiety disorders is cognitive-behavioral therapy.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anxiety disorders includes benzodiazepine, buspirone, antidepressants and other newer drugs. In this review, these combined treatment methods were describ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understanding and proper managment of anxiety disorders. (Korean J Str Res 2006;14:287∼292)
Stress and Allergy
Yoon-Seok Chang, M.D., Ph.D.
Korean J Str Res. 2006;14(4):293-298.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60 View
  • 3 Download
PDF
Heart Disease and Emotional Stress
Myung Ho Hong, M.D.
Korean J Str Res. 2006;14(4):299-308.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66 View
  • 3 Download
Abstract PDF
심장병이라 하면 관상동맥심장질환, 심장 마비, 협심증,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부정맥, 심근증, 선천성 심장질환, 심부전, 류마치스성 심장질환, 감염성 심장질환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심장 질환을 통칭하는 광범위한 용어로서 그중에 관상동맥심장질환이 대표적인 심장병이다. 심장병은 2005년도 한국인의 3대 사망원인 중 하나로서 심장 질환 중에는 허혈성 심장 질환에 의한 1일 사망률은 27.5명으로 가장 빈도가 높았다. 1995년과 비하면 고혈압성 질환은 18.3명에서 9.3명으로, 뇌혈관 질환은 79.7명에서 64.3명으로 사망률이 감소하였고 심근 경색 등의 허혈성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995년 13.1명에서 2005년 27.5명으로 증가하였다. 주로 관산동맥 심장질환에 의한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 인자는 가역적인 흡연, 체중, 음식, 음주 운동, 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있으며 비 가역적인 나이, 성, 가족력 등이다. 관상동맥 심장질환의 대사성 위험인자들은 그 기전이 잘 규명되어 있으나 정신사회적 인자들의 관상동맥 발생기전에 관해서는 많은 논쟁의 대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상동맥 심장질환발생에 정신사회적인자들의 영향을 전적으로 폐기시키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로서 A형 성격의 수용이 정신사회적 역할의 인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Korean J Str Res 2006;14:299∼308)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Kyung Soo Ko, M.D.
Korean J Str Res. 2006;14(4):309-324.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52 View
  • 1 Download
PDF
Sport Psychology is
Chung Hee Chung
Korean J Str Res. 2006;14(4):325-336.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96 View
  • 2 Download
PDF
Stress Managgement for the Arthritis Patients
Inja Kim
Korean J Str Res. 2006;14(4):337-344.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71 View
  • 2 Download
Abstract PDF
To intervene the problems resulted from chronic stress of arthritis patient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tressors and factors to mediate the effects of those stressors. Hence, adaptation model of Roy and stress-coping model of Lazarus and Folkman were used to understand the stressors and mediating factors. Based on the propositions from these model, several stressors and mediating factors which were intervened by health professionals were identified. Also several methods were reported as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the arthritis patients. (Korean J Str Res 2006;14:337∼343)
Applying Tai Chi from Nursing Perspective
Rhayun Song, RN
Korean J Str Res. 2006;14(4):345-350.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248 View
  • 2 Download
Abstract PDF
There has been increasing research evidence regarding comprehensive therapeutic benefits of Tai Chi, a wellknown ancient Chinese martial art. Tai Chi is a form of low intense aerobic exercise characterized by continuous slow(flowing), gentle body movements combined with deep diaphragmatic breathing and relaxation. During this movement, Tai chi principle emphasizes to stand upright, to control center of gravity to remain stable, and to loosen their joints to allow the flow of Qi. Currently the effects of tai chi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such as symptom management, balance, muscle strengths are supported by various scientific studies, but Qi-components of Tai Chi exercise have yet to be empirically proven. This workshop will introduce basic principles and major types of Tai Chi exercise, and potential benefits of Tai Chi exercise applicable to healthy population as well as those with chronic disease and limited physical conditions. The participants will practice preparatory movements and basic forms of Tai Chi for health program. (Korean J Str Res 2006;14:345∼349)
Stress and Health Preservation
Yong-Cheol Shin
Korean J Str Res. 2006;14(4):351-356.   Published online December 25, 2006
  • 302 View
  • 10 Download
Abstract PDF
한의학에서는 질병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체내의 음양의 평형이 파괴되어 편승이 발생하면 질병을 유발한다고 하였다. 병인으로 외인(外因), 내인(內因), 불내외인(不內外因)을 들고 있으며, 칠정이나 외기의 변화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에 대한 인체의 반응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외부의 병인이 있어도 신체가 허(虛하)지 않으면 병을 일으킬 수 없다고 하였고, 사기(邪氣)가 체내 정기부족과 더불어 발병이 된다고 하여, 감염된 사실보다도 점진적인 감염과정의 표출과 잠재적인 감염을 외현적인 체계와 병리로 전환시키는 장애가 더욱 중요하다고 하였다. 한의학에서는 양생의 정의를 "생명을 기르는 뜻으로 자연의 법칙에 부합하여 몸과 마음의 수양, 음식조절, 기거(起居)의 일정함, 절욕(節慾) 및 운동, 기공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인체가 조화와 균형을 이루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오래 장수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양생의 입장에서 개체의 저항성, 면역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양생법으로 체내의 음양의 평형으로 기(氣)의 균형이 잘 유지된다면, 계속 항상성(恒常性)을 이루게 되어, 내외의 스트레스와 같은 인자에 대한 면역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특히 양생(養生)의 미병관(未病觀)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체내에서 질병으로 나타나기 전까지의 기능적 변화상태를 파악해서 예방적 차원으로 미병(未病)이 있으면 먼저 예방을 하고, 발병전조가 있을 때는 초기치료를 실행하며, 질병 전변의 경향을 파악하여 미리 예방치료하여 병증이 진일보 발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양생법 중에서 정신양생은 칠정(七情)의 조절을 중시하고, 이를 건강과 장수 또는 질병의 치료 등의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 기공양생에서는 조신(調身), 조식(調息), 조심(調心)의 단련에 의해 경락을 소통시키고 기혈을 조화시켜 체질을 보강하고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이를 기공삼조(氣功三調)라 한다. 또한 수면도 인체의 생리 활동 중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으로써, 명상법, 안마 등의 방법을 결합하여 안면(安眠) 및 양생 작용을 겸비한 수결(睡訣)과 수공(睡功)들을 편성하였다. 또한 음식을 절제하는 것은 음식양생의 중요한 원칙이며, 계절, 기후, 지리, 지역, 각자의 체질, 성별, 연령 등이 다름에 따라 인체의 생리와 병리에 따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한의학의 음양오행학설과 천인상응(天人相應)을 통해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에 잘 적응함으로써 신체의 음양 평행을 유지하고 기혈을 잘 통하게 하며, 주위 환경의 양생 질병예방 원칙에 적응하고, 또한 일상생활과 정서활동을 조절하는 사기조신(四氣調神)법과 사회환경에 적응하는 염담허무(恬淡虛無), 정신내수(精神內守), 종용인사(從容人事) 등의 방법을 통하여 스트레스완화, 질병예방 및 치료에 응용할 수 있다. (Korean J Str Res 2006;14:351∼356)

STRESS : STRESS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