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STRESS : STRESS

Sumissioin : submit your manuscript
SEARCH
Search

Articles

Page Path
HOME > STRESS > Volume 27(4); 2019 > Article
ORIGINAL ARTICLE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대처,대인관계만족도에 관한 연구
양승희orcid
A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Style of College Students
Seunghee Yangorcid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9;27(4):422-430.
DOI: https://doi.org/10.17547/kjsr.2019.27.4.42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9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College of Nursing, Shinhan University, Dondu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Seunghee Yang College of Nusing, Shinhan University,40-30 Beolmadeul-ro, Donducheon11340, Korea Tel: +82-31-870-1710 Fax: +82-31-870-1719 E-mail: ysh5155@hanmail.ne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ShinHan University Research Fund, 2019.
• Received: November 29, 2019   • Revised: December 19, 2019   • Accepted: December 19, 2019

Copyright: ©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 1,943 Views
  • 78 Download
  •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대처 및 대인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 하여 행동유형별 스트레스 대처 및 대인관계만족도를 향상시켜 만족스런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경기지역 대학생 255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DISC 행동유형은 신중형이 가장 많고 다음은 사교형, 안정형, 주도형 순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지각정도 는 4점 만점에 2.40점, 대인관계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47점이었다. 대처는 소극적 대처보다 문제중심의 적극적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DISC 행동유형은 유형별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학생 지도시 학생의 행동유형을 이해하고 강점을 최대화는 것이 필요하다.
  • Abstract Background:
    College students experience stress related to its demands. Providing adequate resources to improve stress management remains a challenge.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DISC) is an instrument that accounts for multidimensionality of personality and has been used widely in research and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SC behavioral style with perceived stress, coping behavior, and personal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5 college students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Univariat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erceived stress, coping, personal satisfaction were examined using bivariate analysis with T-tests for independent samples and Chi-square. ANOVA was used to assess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DISC profiles and the following three variables: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A Scheffe test was performed post hoc to test for differences in DISC behavioral style and measures of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 Results:
    The distribution of DISC behavioral styles were 49.4%, 23.2%, 18.8%, and 8.6% respectively for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Perceived stress and personal relationship varied significantly with DISC behavioral style (p=.001 and p=.019 respectively). Variation in DISC behavioral style did not demonstrate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tress coping (p=.383).
  • Conclusions:
    Providing stress coping management tailored to DISC behavioral style may be an effective way to improve stress reduction and personal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대학생 시기는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접어드는 시기로자신의 정체성을확립하고능동적인 인격체로 사회적법적 책임을 스스로 져야하는시기이다(Yang SH et al., 2015). 특히우리나라대학생은중고등학교 시절부터 입시준비로 많은 스트레스를경험하고 대입이라는 힘든 관문을 지나 대학에 입학하여도 개인의 발달적측면이나 대학의 특성,청년 실업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경 험하게 된다(Yang SH, 2017).
대학생들은 중ㆍ고등학교 시절에 경험했던 고민과 달리 대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 놓이면서 더욱더 복잡하고 어려운 진로 및 취업 등 자신의 미래를 계획해 나가야 하며, 폭 넓어진 대인관계, 이성문제,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심리적 부담감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대학생의 스트레스 순위가 학업, 취업 등의 장래에 대한 부담, 경제적 부담과 대인관계 에 대한 부담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볼 때 대인관계가 스트레스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위축된 대인관계는 대학생활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대학생 시기는 친밀한 대인관계형성이 주요 발달 과업으로 이 시기의 만족스러운 대인관계의 형성과 유지는 이후 일생의 대인 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Kim MH, 2004; KimMH, 2008).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바람직하면 건전한 성격을 갖는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으나 대인관계가 불만스럽고 비효과적일 경우 외로움이나 고립감, 우울 등의 심리적 어려움과 인격 성장 및 발달에 방해를 받게 된다(Lee HI, 2010).
대학생들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건전한 취미나 여가활동을 통해 스스로 스트레스를 풀어 나가는 대처방식을 갖고 있기도 하지만, 일부 대학생들은 적절한 방식 대신 술과 담배, 게임 및 도박행위 등 불건전한 방식을 통해 일시적 으로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음주, 흡연, 게임, 도박 등의 대처는 문제중심적인 적극적인 대처가 아니고 일시적인 완화 수단으로서의 소극적인 대처라고 볼 수 있다(Lim SB, 2012).
사람들은 태어나서부터 성장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자기 나름대로의 독특한 동기요인에 의해 선택적 또는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되면서 하나의 경향성을 나타내며 이것을 행동 유형(Behavior Pattern)이라고 하고 이러한 인간의 행동유형을 마스톤 박사는 주도형(Dominance), 사교형(Influence), 안정형(Steadiness), 신중형(Con-scientiousness) 네 가지로 분류하여 DISC 행동유형이라고 하였다(Lim WS, 2009). 4가지 DISC 행동유형 중 주도형(D)은 활기있게 행동하고 도전을 받아들여 뚜렷한 성과를 내며 지도력이 있고 문제를 빠르게 결정한다. 사교형(I)은 사람과 접촉하는 것을 좋아하고 그룹에 참여하여 즐겁게 하며 호의적 인상을 주며 타인을 동기유발시킨다. 안정형(S)은 고정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선호하며 인내심과 타인을 배려하고 협력하며 남의 이야기를 경청한다. 신중형(C)은 세부사항에 신경을 쓰고 익숙한 환경을 선호하며 정확한 일처리와 엄격한 사고방식, 상황을 분석하고 위험요인을 파악한다. 이러한 4가지 DISC 행동유형은 옳고 그름, 최선 혹은 최악의 유형은 없으며 개인이 처한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을 보여준다.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대인관계만족도,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 등이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DISC 행동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만족도, 전공 및 대학생활만족도, 건강문제를 향상시킬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본다(Kim BK, 2008; Lim WS, 2009).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과 의사소통,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상태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스트레스의 중요한 영향요인이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가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이 있다는 부분을 감안하여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대인관계만족도를 함께 조사하여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 스트레스 지각, 대처, 대인관계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대처 및 대인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안 및 대인관계만족도를 향상시켜 만족스런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으로는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DISC 행동유형, 스트레스 지각, 대처, 대인관계만족도를 파악하고 둘째, 대상자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대처 및 대인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1. 연구 고안방법
본 연구는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지각, 대처, 대인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2. 연구대상자 및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의 대학생을편의표집하였으며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대상자에게 연구목적과 내용, 연구 참여의 자율성 및 익명성 보장, 설문지 응답도중 언제라도 참여를 중단할 수 있다는 점과 참여중단으로 인한 불이익이 없는 점,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에 사용하지 않는 점 등을 설명하고 대상자에게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3. 연구도구

1) DISC 행동유형

DISC 행동유형 척도는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심리학과교수였던 Marston(1928)의 인간 행동의 속도(심사 숙고형, 속전 속결형)와 우선순위(인간 중심, 과업 중심)에 기초하여 미국의 Boyd(1994)가 개발한 척도를 Kim MH(2003)가 번안하고 Lim WS(2009)이 사용한 도구이다. 본 도구는 개인의 행동유형을 주도형인 D형, 사교형인 I형, 안정형인 S형, 신중형인 C형으로 분류하고 각 하위항목당 10문항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동유형의 판별은 각 행동유형 점수를 합산하여 점수의 값이 높은 유형을 대상자의 행동유형으로 분류하였다.

2)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지각 척도는 Levensteinet al .(1993)이 개발한 30문항의 척도를Lee YM(1997)가 당뇨병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 사건에 대해 느끼는 상태를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항상 그렇다’ 4점까지 4점척도이다. 8개의 역 문항이있으며,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Lee YM(1997)의 연구에서 신뢰도는 Cronbach’s α= .84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α=.92이었다.

3) 대처

대처 척도는 Lazarus RSet al .(1984)이개발한68개문항을 Shon MJet al .(1999)이 300개 문항을 발췌하여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대처를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각각 15문항씩 총 30문항이며 각 문항에 대하여 ‘사용하지 않음’ 0점부터 ‘많이사용함’ 3점까지의 4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해당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것을 의미한다. Lazaruset al .(1984)이 도구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92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6이었다.

4) 대인관계 만족도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KimBK(2008)이 인간관계 만족도 검사를 대학생 대상으로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일반적인 대인관계 만족도 5문항, 부모와의 만족도 7문항, 교수와의 만족도 7문항, 친구와의 만족도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에 대하여 ‘전혀그렇지않다’ 1점에서부터‘매우그렇다’ 5점까지의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에 대한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Kim BK(2008)의 연구에서 Cronbach’sα=.81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α=.82이었다.
4. 자료수집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에 재학 중인학생으로 자료수집은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연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서면동의를 받은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7월 22일부터 2019년 8월 2일까지이다,
대상자 수는G*Power3.1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본수를 산정하였다. 분산분석 검정을 위해 Power 0.80, 효과크기 0.25, 알파 0.05으로 산정하였을 때 최소 200명으로 산출되었으며, 본 연구 대상자 수 255명은 분석에 필요한 크기를 충족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5.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DISC 행동유형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스트레스 지각, 대처, 대인관계 만족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DISC 행동유형, 스트레스지각, 대처, 대인관계 만족도의 차이와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대처, 대인관계 만족도는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ce 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인 집단은 사후검정으로 Scheffe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Table 1).
연구대상자는 총 255명으로 성별은 여성이 74.1%로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20세 이하 37.3%, 21세 24.7% 순으로 많으며, 학년은 2학년이 39.6%로 가장 많 았고, 종교는 무교가 54.9%로 가장 많 았다. 입학동기는 취업전망 51.0%, 적성 36.4% 순으로 많으며, 전공은 간 호학과가 58.4%로 가장 많았다. 학과별 전공만족도의 경 우 디자인학과는 만족한다 73.7%. 보통 21.0%, 유아교육 과는만족한다 51.4%, 보통 44.2%, 불만족 4.2%, 간호학 과는 만족한다 65.1%, 보통 33.6%, 불만족 1.3%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만족도는 그저 그렇다 51.8%, 만족한다 1 순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좋은 편이 47.0%, 보통이 46.7% 순이며, 부모와 동거여부는 동거하는 경우가 79.2%, 주거형태는 자가가 76.9%로 가장 많았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255)
 Variable  Categories N %
Gender Male 66 25.9
Female 189 74.1
Age (M±SD=21.51±1.84) ≤20 95 37.3
21 63 24.7
22 35 13.7
23 27 10.6
≥24 35 13.7
Grade Freshman 92 36.1
Sophomore 101 39.6
Junior 42 16.5
Senior 20 7.8
Religion Protestant 83 32.5
Catholic 19 7.5
buddhist 13 5.1
None 140 54.9
Admission motives Employment after graduation 130 51.0
Aptitude 93 36.4
Encouragement of others 16 6.3
Others 16 6.3
Major Design 35 14.1
Early childhood education 70 27.5
Nursing 149 58.4
Satisfaction with major Design
Satisfied 28 73.7
Moderate 8 21.0
Dissatisfied 0 0.0
Early childhood education Satisfied 36 51.4
Moderate 31 44.2
Dissatisfied 3 4.2
Nursing Satisfied 97 65.1
Moderate 50 33.6
Dissatisfied 2 1.3
College life satisfaction Satisfied 107 42
Moderate 132 51.8
Dissatisfied 16 6.2
Physical health Good 120 47.0
Moderate 119 46.7
Bad 16 6.3
Live with parents Yes 202 79.2
No 53 20.8
Residence type Home 196 76.9
Lodging & Dormitory 27 10.6
Others 32 12.5
2. 대상자의 DISC 행동유형, 스트레스 지각, 대처 및 대인관계 만족도정도
대상자의 DISC 행동유형, 스트레스 지각, 대처 및 대인 관계 만족도 정도는 다음과 같다(Table 2). 대상자의 DISC 행동유형은 주도형 8.6%, 사교형 23.2%, 안정형 18.8%, 신중형 49.4%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4점 척도에 평균 2.40점으로 나타났다. 대처의 하위영역 인 소극적 대처 평균 1.61점, 적극적 대처 평균 1.78점으 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만족도는 5점 척도에 평균 2.47이며 하위영역으로 일반적인 대인관계만족도는 3.6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 관계만족도 2.74, 부모 관계만족도 2.37, 친구 1.97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과별 대인관계 만족도의 경우는 일반, 교수, 부모, 친구 관계만족도 순으 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자인 학과는 교수관계만족도가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부모, 친구관계 만족도 순이며, 유아교육과의 일반관계만족도는 3.74로 매우 높고 교수, 부모, 친구관계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친구관계만족도가 1.76으로 많이 낮은 편이다. 간호학과의 경우도 일반관계만족도가 3.70으로 가장 높고 교수, 부모, 친구관계만족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과와 마찬가지로 친구관계 만족도가 1.97로 낮은 편이다.
Table 2
Disc behavioral style,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N=255)
Variable n (%) or M±SD Min Max Range
Behavioral styles
 Dominance (D) 22 (8.6)
 Influence (I) 59 (23.2)
 Steadiness (S) 48 (18.8)
 Conscientiousness (C) 126 (49.4)
Perceived stress 2.40±0.52 1.00 3.83 1~4
Coping 1.69±0.38 0.76 2.90 0~3
 Passive coping 1.61±0.41 0.47 2.93
 Active coping 1.78±0.43 0.71 2.86
Personal satisfaction Total 2.47±0.57 1.00 4.87 1~5
General 3.67±0.74 1.00 5.00
Friends 1.96±0.93 1.00 5.00
Professor 2.74±0.59 1.00 4.80
Parents 2.37±0.74 1.00 5.00
Design Total 2.54±0.65 1.00 3.67 1~5
General 3.42±0.81 1.00 5.00
Friends 2.33±1.10 1.00 5.00
Professor 2.72±0.64 1.00 3.80
Parents 2.36±0.73 1.00 3.60
Early childhood education Total 2.31±0.42 1.67 4.00 1~5
General 3.74±0.77 1.00 5.00
Friends 1.76±0.79 1.00 3.75
Professor 2.70±0.47 1.80 4.20
Parents 2.09±0.66 1.00 5.00
Nursing Total 2.53±0.60 1.53 4.87 1~5
General 3.70±0.70 2.00 5.00
Friends 1.97±0.93 1.00 4.75
Professor 2.77±0.62 1.06 4.80
Parents 2.50±0.75 1.00 5.00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DISC 행동유형, 스트레스지각, 대처및대인관계 만족도

1) DISC 행동유형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DISC 행동유형의 차이를 비교한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Table 3
Disc behavioral styl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255)
Characteristics Categories D (n=22) I (n=59) S (n=48) C (n=126) χ2 p




n (%) n (%) n (%) n (%)
Gender Male 6 (2.4) 17 (6.6) 12 (4.7) 31 (12.2) .413 .937
Female 16 (6.3) 42 (16.5) 36 (14.1) 95 (37.2)
Age ≤20 8 (3.1) 21 (8.2) 15 (5.9) 51 (20.0) 10.753 .550
21 3 (1.2) 17 (6.7) 12 (4.7) 31 (12.2)
22 3 (1.2) 8 (3.1) 12 (4.7) 12 (4.7)
23 3 (1.2) 6 (2.4) 4 (1.6) 14 (5.5)
≥24 5 (2.0) 7 (2.7) 5 (2.0) 18 (7.1)
Grade Freshman 8 (3.1) 20 (7.8) 13 (5.1) 51 (20.0) 8.998 .437
Sophomore 7 (2.7) 24 (9.4) 22 (8.6) 48 (18.8)
Junior 4 (1.6) 9 (3.5) 12 (4.7) 17 (6.7)
Senior 3 (1.2) 6 (2.4) 1 (0.4) 10 (9.9)
Religion Protestant 6 (2.4) 22 (8.6) 15 (5.9) 40 (15.7) 14.043 .121
Catholic 3 (1.2) 2 (0.8) 3 (1.2) 11 (4.3)
Buddhist 2 (0.8) 7 (2.7) 0 (0.0) 4 (1.6)
None 11 (4.3) 28 (11.0) 30 (11.8) 71 (27.8)
Admission motives Employment after graduation 11 (4.3) 29 (11.4) 29 (11.4) 61 (23.9) 12.638 .180
Aptitude 8 (3.1) 25 (9.8) 10 (3.9) 50 (19.6)
Encouragement of others 0 (0.0) 2 (0.8) 4 (1.6) 10 (3.9)
Others 3 (1.2) 3 (1.2) 5 (2.0) 5 (2.0)
Major Design 5 (13.2) 13 (5.1) 5 (2.0) 15 (5.1) 8.384 .211
Early childhood education 4 (1.6) 13 (5.1) 17 (6.7) 36 (14.1)
Nursing 13 (5.1) 33 (12.9) 26 (10.2) 77 (30.2)
Major satisfaction Satisfied 10 (3.9) 45 (17.6) 22 (8.6) 84 (32.9) 16.360 .012*
Moderate 12 (4.7) 14 (5.5) 24 (9.4) 39 (15.3)
Dissatisfied 0 (0.0) 0 (0.0) 2 (0.8) 3 (1.2)
College life satisfaction Satisfied 8 (3.1) 31 (12.2) 11 (4.3) 57 (22.4) 12.409 .053
Moderate 12 (4.7) 24 (9.4) 32 (12.5) 64 (25.1)
Dissatisfied 2 (0.8) 4 (1.6) 5 (2.0) 5 (2.0)
Physical health Good 8 (3.1) 27 (10.6) 17 (6.7) 68 (26.7) 7.053 .316
Moderate 13 (5.1) 27 (10.6) 28 (11.0) 51 (20.0)
Bad 1 (0.4) 5 (2.0) 3 (1.2) 7 (2.7)
Live with parents Yes 16 (6.3) 44 (17.3) 37 (14.5) 105 (41.2) 2.764 .429
No 6 (2.4) 15 (5.9) 11 (4.3) 21 (8.2)
Residence type Home 17 (6.7) 43 (16.9) 35 (13.7) 101 (39.6) 2.520 .866
Lodging & Dormitory 3 (1.2) 7 (2.7) 5 (2.0) 12 (4.7)
Others 2 (0.8) 9 (3.5) 8 (3.1) 13 (5.1)

* p<.05, **p<.01, ***p<.001.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에 따른 DISC 행동유형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전공만족도는 신중형, 사교형에 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도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5). 그밖에 성별, 연령, 학년, 종교, 입학동 기, 전공, 대학만족도, 건강상태, 부모와 동거여부, 거주형 태에 따른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스트레스 지각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정도를 살펴본 결 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Table 4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255)
 Characteristics  Categories Perceived stress Coping Personal satisfaction



M±SD t/F p M±SD t/F p M±SD t/F p
Gender Male 2.32±0.52 1.655 .099 1.69±0.39 -.101 .920 2.58±0.63 1.833 .068
Female 2.43±0.50 1.69±0.37 2.43±0.54
Age <20 a 2.32±0.46 4.637 .001 1.72±0.38 1.219 .303 2.48±0.63 .550 .699
21 b 2.62±0.50 a,e<b 1.66±0.38 2.44±0.49
22 c 2.42±0.52 1.59±0.34 2.39±0.49
23 d 2.32±0.51 1.76±0.35 2.45±0.50
>24 e 2.28±0.50 1.74±0.39 2.58±0.66
Grade Freshman 2.33±0.47 2.061 .106 1.75±0.39 2.262 .082 2.52±0.62 2.543 .057
Sophomore 2.50±0.53 1.64±0.38 2.37±0.49
Junior 2.34±0.51 1.64±0.32 2.48±0.52
Senior 2.38±0.42 1.79±0.38 2.72±0.73
Religion Protestant 2.41±0.52 .048 .986 1.74±0.37 1.002 .393 2.50±0.62 .298 .827
Catholic 2.41±0.44 1.65±0.27 2.42±0.49
Buddhist 2.36±0.58 1.76±0.44 2.56±0.53
None 2.40±0.49 1.66±0.38 2.45±0.56
Admission motives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 2.40±0.53 .582 .627 1.76±0.39 4.196 .006 2.53±0.60 1.187 .315
Aptitude b 2.37±0.48 1.64±0.35 a>c 2.39±0.56
Encouragement of others c 2.46±0.39 1.47±0.35 2.47±0.44
Others d 2.54±0.55 1.66±0.33 2.44±0.44
Major Design a 2.47±0.36 2.491 .085 1.59±0.39 3.538 .031 2.54±0.65 3.784 .024
Early Childhood Education 2.49±0.58 1.64±0.37 a<c 2.31±0.42 b<c
Nursing c 2.35±0.49 1.74±0.37 2.53±0.60
Major satisfaction Satisfied a 2.33±0.48 5.758 .004 1.71±0.39 1.259 .286 2.43±0.60 1.262 .285
Moderate b 2.54±0.51 a<b 1.67±0.35 2.55±0.50
Dissatisfied c 2.20±0.61 1.47±0.38 2.40±0.44
College life satisfaction Satisfied a 2.26±0.49 8.251 .000 1.75±0.39 2.095 .125 2.45±0.64 1.210 .300
Moderate b 2.49±0.48 a<b,c 1.66±0.37 2.51±0.53
Dissatisfied c 2.61±0.58 1.59±0.38 2.28±0.38
Physical health Good a 2.21±0.50 24.069 .000 1.74±0.39 4.525 .012 2.39±0.60 4.745 .009
Moderate b 2.52±0.42 a<b<c 1.62±0.34 a>b 2.50±0.51 a<c
Bad c 2.92±0.40 1.84±0.47 2.83±0.61
Live with parents Yes 2.38±0.49 -1.678 .095 1.68±0.36 -1.509 .133 2.44±0.53 -1.752 .081
No 2.51±0.53 1.76±0.43 2.59±0.68
Residence type Home a 2.39±0.50 .706 .494 1.68±0.37 1.192 .305 2.43±0.53 3.518 .031
Lodging & Dormitory b 2.51±0.58 1.80±0.42 2.74±0.73 a<b
Others c 2.39±0.47 1.70±0.36 2.48±0.63

a-e Scheffé test.

일반적 특성 중 연령, 전공만족도, 대학만족도, 건강상 태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 은 21세(2.62점)가 20세 이하(2.32점)과 24세 이상(2.28 점)보다 높았으며(p<.01), 전공만족도는 그저 그렇다 (2.54점)가 만족한다(2.3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p<.01). 대학만족도는 불만족한다(2.74점)가 가장 높았고, 만족한 다(2.4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다났(p<.05). 건강상태는 나쁜 편(2.92점), 보통(2.52점), 좋은 편(2.21점)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3) 대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일반적 특성 중 입학동기, 전공만족도, 건강상태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입학동기는 취 업전망(1.76점)이 타인의 권고(1.47점)보다 높았으며(p< .01), 전공은 간호학과(1.74점)가 디자인학과(1.59점)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건강상태는 좋은 편(1.74점)이 보 통(1.62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4) 대인관계 만족도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는 다음과 같다(Table 4).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 건강상태, 주거형태에 따른 대인관계 만족도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전공은 간호 학과(2.53점)가 유아교육학과(2.31점)보다 높았으며(p<.05), 건강상태는 나쁜 편(2.83점)이 좋은 편(2.39점)보다 높게 나타났다(p<.01). 주거형태는 하숙 및 자취(2.74 점)가 자가(2.43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4.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대처및대인관계 만족도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지각, 대처 및대인관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5).
Table 5
Differences in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ersonal relationship by Participants’ DISC behavioral style (N=255)
 Behavioral styles n (%) M±SD F p
Perceived stress Dominance a 22 (8.6) 2.47±0.49 7.689 <.001***
Influence b 59 (23.2) 2.23±0.47 (c>b,d)
Steadiness c 48 (18.8) 2.67±0.44
Conscientiousness d 126 (49.4) 2.37±0.50
Coping Dominance a 22 (8.6) 1.70±0.41 1.023 .383
Influence b 59 (23.2) 1.73±0.39
Steadiness c 48 (18.8) 1.61±0.36
Conscientiousness d 126 (49.4) 1.70±0.37
Passive coping Dominance a 22 (8.6) 1.70±0.42 0.417 .741
Influence b 59 (23.2) 1.63±0.43
Steadiness c 48 (18.8) 1.59±0.42
Conscientiousness d 126 (49.4) 1.60±0.41
Active coping Dominance a 22 (8.6) 1.71±0.46 2.777 .042*
Influence b 59 (23.2) 1.84±0.44 (b>c)
Steadiness c 48 (18.8) 1.63±0.38
Conscientiousness d 126 (49.4) 1.81±0.43
Personal relationship Dominance a 22 (8.6) 3.08±0.30 3.379 .019*
Influence b 59 (23.2) 3.19±0.38 b> c
Steadiness c 48 (18.8) 2.98±0.35
Conscientiousness d 126 (49.4) 3.10±0.35
General Dominance a 22 (8.6) 3.55±0.74 5.515 .001**
Influence b 59 (23.2) 3.80±0.71 (b,d>c)
Steadiness c 48 (18.8) 3.31±0.69
Conscientiousness d 126 (49.4) 3.77±0.74
Parents Dominance a 22 (8.6) 2.35±1.05 3.016 .031*
Influence b 59 (23.2) 2.00±1.01 (a>d)
Steadiness c 48 (18.8) 2.13±0.85
Conscientiousness d 126 (49.4) 1.81±0.87
 Professor Dominance a 22 (8.6) 2.80±0.65 1.070 .362
Influence b 59 (23.2) 2.85±0.57
Steadiness c 48 (18.8) 2.71±0.60
Conscientiousness d 126 (49.4) 2.69±0.57
Friends Dominance a 22 (8.6) 2.48±0.64 1.229 .300
Influence b 59 (23.2) 2.47±0.83
Steadiness c 48 (18.8) 2.41±0.79
Conscientiousness d 126 (49.4) 2.28±0.70

* p<.05,

** p<.01,

*** p<.001,

a-d Scheffé test.

스트레스 지각은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안정형(2.67점)이 사교형(2.23점)과 신중형 (2.37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대처는 사교형(1.73점)이 가장 높고 안정형(1.61점)이 가장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요인인 적극적 대처는 사교형(1.84점)이 안정형(1.63점)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소극적 대처는 주도형(1.70점)이 가장 높고 안정형(1.59 점)으로 가장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 만족도는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교형(3.19점)이 안정형(2.98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대인관계 만족도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일반적 대인관계는 사교형(3.80점)과 신중형 (3.77점)이 안정형(3.31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1), 부모와의 관계는 주도형(2.35점)이 신중형(1.81점)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교수와의 관계는 사교형(2.85점)이 가장 높고 신중형(2.69점)이 가장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친구와의 관계도 주도형(2.48점)이 가장 높고 신중형 (2.28점)이 가장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대처, 대인관계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와 긍정적인 대인 관계 형성을 통해 대학생활을 만족스럽게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스트레스 지각 정도는 4점 척도에 평균 2.40점으로 나타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지각을 연구한 Han KS et al .(2003), Yang SH(2017)의 연구결과에서 각각 2.49점, 2.58점에 비해 유사하거나 약간 낮게 나타나 다른 대학생들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스트레스 대처는 소망이나 거리두기 등의 소극적 대처 (1.61점)보다 문제중심의 적극적인 대처(1.78점)의 평균 점수가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Yang SH(2017)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소극적인 대처방식보다 적극적인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와 유사한 반면 Ji KK(2008)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은 회피와 합리화 등의 소극적인 대처방식으로 나타난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스트레스 대처는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상황 즉 전공, 학년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하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차후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대인관계 만족도는 5점 척도에 평균 2.47이며 하위영역으로 일반적 대인관계만족도가 3.6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 관계만족도 2.74, 부모 관계만족도 2.37, 친구 관계만족도 1.9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와 같은 도구를 사용한 대학생들 대상으로 조사한 Kim BK(2008)의 연구결과 전체 대인관계만족도 3,79에 비해 낮고 친구와의 대인관계만족도 3.87에 비해서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oi MY(2012)의 연구의 전체 대인관계만족도 3.72, 부모 3.89, 친구 3.90, 일반 대인관계 3.54, 교수 3.58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만족도를 학과별로 살펴 본 결과 디자인 학과는 2.33이었으나 유아교육과 1.76, 간호학과 1.97로 나타나 유아교육과와 간호학과가 디자인 학과에 비해 낮게 나타나 학과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교육과와 간호학과는 타 학과에 비해 교원자격 준비나 임상실습, 간호사 국가고시 준비 등으로 개인이 해야 할 과제가 많고 경쟁적이어서 타 학과에 비해 친구관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 전공별로 친구관계만족도를 좀 더 연구해보는 것을 제안한다. 더불어 친구 관계만족도가 낮아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들에게 대인관계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인 상담이나 다양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인 초기에 속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대학생들이 만족스러운 대인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 특성 중 전공에 불만족하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스트레스 지각이 높고 대인관계만족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를 좋지 않게 느낄수록 스트레스 지각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는 Yang SH(2017)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며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신체적인 건강이 정신건강과 직결됨을 말해주는 것으로 대학생의 스트레스관리프로그램에 신체적 건강을 위한 지원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향후 대학생의 스트레스관리와 대인관계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건강상태와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키는 요소가 포함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DISC 행동유형은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여 C형(신중형)과 I형(사교형)이 높고 D형(주도형)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DISC 행동유형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연구한 Lee YH(2015)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며 치위생과 학생의 DISC행동유형과 전공만족도를 연구한 Lee SH et al.(2019) 연구결과에서 S형(안정형)과 C형(신중형)의 전공만족도가 높고 수업내용만족도가 D형(주도형)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C형(신중형)은 목표의식이 뚜렷하고 치밀하며 심사숙고하는 성향으로 본인의 적성과 흥미를 제일 먼저 고려하므로서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되며 I형(사교형)의 전공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부분은 I형(사교형)의 특성이 자기 효능감이 높고 타인과의 어울림을 좋아하며 친화력이 있고 다른 사람에게 동기 유발을 시키고 열정적이며 자신을 인정해 주는 환경에서 동기부여가 잘 되는 점이 대학생활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D형(주도형)은 다른 행동유형보다 목표 지향적이고 의사 결정이 신속하고 탁월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으나 비판적 사고와 자기중심인 성향이 강하고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면 공격적인 성향인 점이 전공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다만 전공과 DISC행동유형과의 관계의 카이제곱 검정을 위한 각 사례수가 일정하지 않은 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표본 수 결정 시 이 점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대학생의 DISC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지각, 대처 및 대인관계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지각이 낮고 적극적인 대처를 하는 행동유형은 사교형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대처는 주도형(1.70점)이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도형(D)의 경우 다른 행동유형에 비해 문제중심 대처방식을많이 사용한다는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대상으로 연구한Cha SM(2016)의 연구결과와 상반된다. 그러나 주도형은적극적인 대처점수도 중간 점수를 보여 스트레스에 대해소극적, 적극적 대처 모두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며 주도형은 결과와 목표에 대한 높은 욕구와 과감성과 빠른 결과를얻고자 하여 항상 불만족한 거 같고 참지 못하는 성향으로스트레스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받아들이기’, ‘소망적 사고’, ‘사회적 지지추구’, ‘자신을 비난하기’와 같은 정서적 중심의 소극적 대처방식을 함께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보며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해서는 향후 폭 넓고 확장된 DISC 행동유형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인관계 만족도도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I형(사교형)이 3.19점으로 S형(안정형) 2.98점보다 높게 나타나(p<.05) Lee YH(2015) Yi JE et al .(2016), Song YS(2017)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I형(사교형)이 스트레스 지각수준이 낮고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대인관계만족도가 높은 것은 I형(사교형)은 외향적이며 호의적인 태도로 사람과 즐겁게 지내고 그룹에 참여하기를 좋아하는 성향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S형(안정형)이 I형(사교형)에 비해 대인관계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결과는 안정형이 온화하고 편하게 지내는 스타일이며, 감정을 나타내지 않고 불편한 문제를 쉽게 일으키지 않기 위해 불평이나 불만을 내색하지 않고 상대방에게 불만을 이야기 하지 않고,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성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Kim BK(2008)의 연구결과와도 동일하다. 따라서 안정형은 자신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의사표현을 보다 적극적으로 정확하고 단호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 교육은 수요자 중심으로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고 충족시키기 위해 다각적 노력을 하므로써 궁극적으로는 대학생들의 학업능력을 향상시키고 대학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새롭고 복잡한 대학 환경에서 스트레스가 많은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높여주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대학생의 행동유형별로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며 행동유형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DISC 행동유형은 유형별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학생 지도시 학생의 행동유형을 이해하고 강점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돕고 부정적인 면에 대해 학생과 깊이 있는 상담과 대화를 통해 학생들의 학과 만족도를 높이고 대학생활을 보다 더 만족스럽게 보낼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즉 대학생들이 다양한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DISC 행동유형별로 스트레스관리방안을 지도하고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보다 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도방안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대상자의 전공이 일부 학과이며 일부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고 확대 해석하는 것은 신중해야 하며 향후 전공계열별로 DISC 행동유형을 조사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 관리방안과 대인관계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 of interest.
  • 1. Cha SM. 2016;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stress and the strategies for coping with such stress arising from clinical fieldwork in accordance with the DISC behavioral style of some of the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4(8):469-478. doi:10.14400/JDC.2016.14.8.469.Article
  • 2. Choi MY. 2012;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Introversion-Extroversion, Appearance Recognition, Locus of Control to the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721027 .
  • 3. Kim BK. 2008;The effect of DISC personality type on stress, coping style,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 4. Kim MH. 2004 A study on family system,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Cheona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050831
  • 5. Kim MH. 2008;A study on ego-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and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17:55-64.
  • 6. Kim NY. 2011;Study on relationships among stres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275004 .
  • 7. Kim YJ, Gong HY, Nam HR, et al. 2018;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Mental Health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Styles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Health Commun. 13(2):223-231. doi:10.15715/kjhcom.2018.13.2.223
  • 8. Han KS, Yang SH, Cheon KK. 2003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ways of coping on symptoms of stress and drinking related problem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Kor J of Psychology 8(3):565-579. http://uci.or.kr/G704-000533.2003.8.3.004
  • 9. Ji KK.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436535
  • 10. Korea Educational Consulting Institute. 2002, Personal profile system; Seoul,. Korea.
  • 11. Lazarus RS,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New York.
  • 12. Lee HI. 2010).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in Nursing student;J Stress Res. 18(2):109-118.
  • 13. Lee JY, Kwk HY. 2017;Relation of DISC Behavioral Styles, Self 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J Health Commun. 12(1):31-40. doi:10.15715/kjhcom.2017.12.1.31
  • 14. Lee SH, Shim HJ. 2019;A Study on the Major Satisfaction and Job Preferenc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DISC Behavioral Pattern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5):217-227. doi:10.22156/CS4SMB.2019.9.5.217.
  • 15. Lee YH. 2015;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DISC Behavior Patterns in Nursing Students. J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2):523-538. http://uci.or.kr/G704-001586.2015.15.2.020
  • 16. Lee YM. 1997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tress, Ways of Coping, and Stress Respones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818709
  • 17. Levenstein C, Prantera V, Varvo M, et al. 1993;Development of perceived stress quesrionnaire :a new tool for psychosomatic research.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7:19-32. doi:10.1016/0022-3999(93)90120-5.Article
  • 18. Lim SB. 2012;A Study on Gambling Addiction Factors of University/College Student;Focusing on self-regulation common-sense model's application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095569 .
  • 19. Lim WS. 2009;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Health Conditions Related to DISC Behavior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715882 .
  • 20. Song YS. 2014;Difference in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according to Behavioral Types (DISC)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Data Analysis Society. 16(2):1115-1124. http://uci.or.kr/G704-000930.2014.16.2.013
  • 21. Yang SH. 2017;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Gambling and Drinking Problem. Korean J Stress Res. 17:25:306-316. doi:10.17547/kjsr.2017.25.4.306.
  • 22. Yang SH, Yoon JW. 2015;Drinking problem and mental health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Str Res. 23(3):137-145. doi:10.17547/kjsr.2015.23.3.137.Article
  • 23. Yang SH, Yun JY. 2015;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on drinking problem among college student: Health and Welfare department student. J of Contents Association. 15(12):304-313. doi:10.5392/jkca.2015.15.12.304.Article
  • 24. Yi JE, Kwak HW. 2016;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527-537. doi:10.14400/jdc.2016.14.11.527.Article

Figure & Data

References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PubReader PubReader
      • Cite
        CITE
        export Copy
        Close
        Download Citation
        Download a citation file in RIS format that can be imported by all major citation management software, including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Reference Manager.

        Format:
        • RIS — For EndNote, ProCite, RefWorks, and most other reference management software
        • BibTeX — For JabRef, BibDesk, and other BibTeX-specific software
        Include:
        • Citation for the content below
        A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Cop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ISC Behavioral Style of College Students
        STRESS. 2019;27(4):422-43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19
        Close
      • XML DownloadXML Download
      Related articles

      STRESS : STRESS